'중앙마라톤'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앙마라톤6

2024 JTBC 서울마라톤 접수 시작!!!(3월 26일!!!!! 10시!!!!!) 달리자, 나답게 JTBC 서울마라톤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홈즈예요~ 봄에 동아일보가 주최하는 서울마라톤이 있다면 가을에는 중앙일보가 주최하는 서울마라톤이 있습니다. 바로 JTBC 서울마라톤입니다! 국내 메이저 대회이기 때문에 접수 일정이 벌써 나왔습니다!!! 3월 26일, 2024 JTBC 서울마라톤 본접수가 시작됩니다! 2024년 JTBC 서울마라톤 본접수는 풀코스와 10K 코스 접수 시간이 이원화되어 진행됩니다. ▶ FULL 코스 접수 안내 - 접수일시 | 2024년 3월 26일(화) 오전 10시 ※선착순 마감 - 보러가기 | https://abr.ge/eiz7vo ▶ 10K 코스 접수 안내 - 접수일시 | 2024년 3월 26일(화) 오후 2시 ※선착순 마감 - 보러가기 | https://abr.g.. 2024. 3. 19.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5주차 5주 차(20230828~ 20230903) Sub-3 목표 8월28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29일(화): 13km 파틀렉(fartlek) 8월30일(수): 준비운동 10분, 3km 질주 * 3회(중간에 조깅으로 5분씩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31일(목): 10km 지속주 9월01일(금): 5km 가볍게 달리기 9월02일(토): 8km 파틀렉(fartlek) 9월03일(일): 24km 기록측정(2시간 이내) ~ 3시간 30분 목표 8월28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29일(화): 준비운동 10분, 1.5km 질주 * 3회(중간에 조깅으로 4분씩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30일(수): 10km 지속주 8월31일(목): 준비운동 10분, 40초 언덕훈력 * 8회(중간에 조깅으로.. 2023. 8. 25.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3주차 3주차(20230814 ~ 20230820) Sub-3 목표 8월14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5일(화): 준비운동 10분, 3km 질주, 5분 조깅, 1.5Km 질주 *3회(중간에 조깅으로 3분씩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16일(수):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17일(목): 11km 파틀렉 훈련 8월18일(금): 6km 가볍게 달리기 8월19일(토): 8km 가볍게 달리기 8월20일(일): 10km 대회 참가(기록측정 - 40분) ~ 3시간 30분 목표 8월14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5일(화): 10km 지속주 8월16일(수): 준비운동 10분, 40초 언덕훈련 * 8회(내리막길 조깅), 마무리운동 10분 8월17일(목):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8일(금): 휴식 8.. 2023. 8. 13.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2주차 2주차(20230807 ~ 20230813) Sub-3 목표 8월07일(월):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08일(화): 준비운동 10분, 언덕훈련 60초 * 8회(내리막에서 조깅으로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09일(수): 10km 지속주 8월10일(목): 준비운동 10분, 800m * 6회(반복훈련 중간 2분 휴식) 8월11일(금): 5km 가볍게 달리기 8월12일(토):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13일(일): 20km 기록 측정(90분) ~ 3시간 30분 목표 8월07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08일(화): 10km 지소주 8월09일(수): 준비운동 10분, 3분간 질주 * 4(중간 2분 조깅), 마무리운동 10분 8월10일(목):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1일(금): 휴식 8월12일.. 2023. 8. 6.
훈련시작-스트레칭 훈련시작 ㅡ 스트래칭 이제 장비가 어느 정도 갖춰져 있다면, 밖으로 나가보자. 마라톤 훈련의 시작과 끝은 항상 스트레칭과 함께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정신과 육체에 유익할 것이다. 스트레칭을 왜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의학적인 상식은 차치한다 하더라도, 유년시절 체육활동 전 꼭 실시했던 것을 상기시켜보면 알 것이다. 스트레칭을 하는 가장 근본, 기본적인 이유는 부상방지에 있다. 건강을 위해 시작한 운동인데 운동으로 인해 건강을 망친다면 그것보다 억울한 일은 없을 것이다. 의학적인 스트레칭을 잠깐 보도록 하자. 스트레칭은 신체 부위의 근육이나, 건, 인대 등을 늘여주는(신전시키는) 운동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 유연성 유지 및 향상, 상해 예방 등의 도움이 된다. 스트레칭의 일반적인 원리는 근육의 길이를 확장.. 2018. 7. 31.
목표설정 목표설정 마라톤에 도전해 보겠다는 도전의 결의가 생겼다면, 이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 목표는 풀코스(42.195Km), 하프(21.098Km), 10Km 세가지 중 하나면 충분하다. 앞서 말한 그 목표가 아니어도 좋다. 5Km 건강 달리기나 걷기도 좋으니 자신의 몸 상태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리한 목표 설정은 심적 압박감 뿐만 아니라 육체적인 압박도 심하기 때문이다. 즐겁게 즐기게 위한 운동인데 과도한 목표 설정으로 인해 오히려 운동과 멀어지게 된다. 지금은 마라톤 기록에 욕심을 내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즐겁게 마라톤에 입문하는 단계이므로 ‘즐겁게’를 모토로 조금씩 조금씩 몸과 마음을 달궈보자. 소싯적에 달리기 좀 했다고 10키로는 식은 죽 먹기 식으로 도전하면 정말 큰일난다.. 2018. 7.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