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주차(20230814 ~ 20230820)
Sub-3 목표
8월14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5일(화): 준비운동 10분, 3km 질주, 5분 조깅, 1.5Km 질주 *3회(중간에 조깅으로 3분씩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16일(수):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17일(목): 11km 파틀렉 훈련
8월18일(금): 6km 가볍게 달리기
8월19일(토): 8km 가볍게 달리기
8월20일(일): 10km 대회 참가(기록측정 - 40분)
~ 3시간 30분 목표
8월14일(월):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5일(화): 10km 지속주
8월16일(수): 준비운동 10분, 40초 언덕훈련 * 8회(내리막길 조깅), 마무리운동 10분
8월17일(목): 8km 가볍게 달리기
8월18일(금): 휴식
8월19일(토): 3~5km 가볍게 달리기
8월20일(일): 10km 대회 참가(기록측정 - 45분)
~ 4시간 00분 목표
8월14일(월): 휴식
8월15일(화): 10km 지속주
8월16일(수): 준비운동 10분, 30초 질주 * 4회(중간 1분 조깅), 마무리운동 10분
8월17일(목): 10km를 가볍게 달림
8월18일(금): 휴식
8월19일(토): 20분 조깅 + 스트라이드 주법(stride)
8월20일(일): 10km 대회 참가(기록측정 - 52분)
4시간 ~ 완주 목표
8월14일(월): 휴식
8월15일(화): 25분 조깅
8월16일(수): 휴식
8월17일(목): 20분 조깅
8월18일(금): 휴식
8월19일(토): 5km 조깅
8월20일(일): 11~13km 걷기와 조깅
2023.08.01 - [- 마라톤/- 풀코스 대비 훈련] -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1주차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1주차
1주차(20230731 ~ 20230806) Sub-3 목표 7월31일(월):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01일(화): 준비운동 10분, 1.5km * 4회(중간에 조깅으로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02일(수): 10km 지속주 8월03일(목): 준비운동 10분, 100
holmez.tistory.com
2023.08.06 - [- 마라톤/- 풀코스 대비 훈련] -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2주차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2주차
2주차(20230807 ~ 20230813) Sub-3 목표 8월07일(월):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08일(화): 준비운동 10분, 언덕훈련 60초 * 8회(내리막에서 조깅으로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09일(수): 10km 지속주 8월10일(목): 준
holmez.tistory.com
2023.08.19 - [- 마라톤/- 마라톤 완주 프로그램] -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4주차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4주차
4주 차(20230821~ 20230827) Sub-3 목표 8월21일(월):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22일(화): 준비운동 10분, 3분 질주 * 6회(중간에 조깅으로 2분씩 휴식), 마무리운동 10분 8월23일(수): 10km 가볍게 달리기 8월24일(목):
holmez.tistory.com
훈련용어
@@@
시간주는 주행시간은 정해 달리는 것으로 훈련강도는 전력의 70~80%, 맥박수 성인 기준 120~130.
마지막 20분은 평균 속도보다 빠른 페이스 마무리한다.
@@@
거리주는 지구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훈련이므로 시간과 상관없이 거리에 집중한다.
처음 5km는 느린 속도로, 다음 6~30km는 자신의 주력에 맞게, 마지막 5km는 빠르게
쉬지 않고 달리는데 그 목적이 있다.
@@@
LSD(Long Slow Distance)는 긴 거리를 천천히 시간을 두고 달리는 것으로 전력의 60%.
30분, 60분 등 시간을 늘려가는 훈련으로 장거리에 적응하는데 목적이 있다.
@@@
언덕훈련(Hill Training)은 언덕을 이용한 훈련법으로 100~300m 경사면을 오른다.
오를 때 팔 흔들기를 강조하고, 내리막에서는 휴식 또는 스피드 훈련을 겸할 수 있다.
@@@
스트라이드(Stride)는 한 발짝 한 발짝 넓은 보폭으로 달리는 방법이다.
평소보다 넓은 보폭으로 훈련하면 근육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
웨이트는 상, 중, 하 복근을 집중적으로 단련한다.
30킬로미터 이후 기록은 복근으로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샤킹주법의 샤킹(shacking)은 걷는지 달리는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의 속도와 힘조절을 한 상태이며,
특별히 동작에 구애받지 않는다.
주로 워밍업(준비운동)과 쿨링다운(정리운동)에 이용된다.
@@@
파틀렉(fartlek)은 자연의 지형을 이용한 훈렵법이다.
예를 들어 평지에서는 가볍게 달리기, 오르막길에서 질주, 내리막길에서는 스피드 있게 달린다.
몸 상태에 따라 지형을 이용하여 주법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면 된다.
@@@
크로스컨트리(cross-country)는 일반도로나 운동장에서 달리는 것과 다르게 높낮이 등 불규칙적인 지형을
달리는 훈련이다.
심폐기능과 근력강화 그리고 균형 있는 자세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 마라톤 > - 마라톤 완주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5주차 (1) | 2023.08.25 |
---|---|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4주차 (1) | 2023.08.19 |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2주차 (0) | 2023.08.06 |
2023 JTBC 서울마라톤 대비 14주 훈련프로그램 - 1주차 (0) | 2023.08.01 |
마라톤 풀코스 12주 완성 - 12주차 (0) | 2023.03.23 |
댓글